상사가 가지고있는 10가지 오해 이혼 변호사

이혼소송에서 배우자에게 재산분할로 임대수익 분배 약정에 따른 임대수익금 지급을 주장했지만 배척된 직후 판결이 결정됐더라도, 별도의 민사소송을 통해 해당 임대수익금의 지급을 청구할 수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청구는 민사청구가 아니기 이혼 변호사 무료 상담 덕에 앞선 이혼소송 판결의 기판력이 민사소송에는 미치지 않는다는 취지다.

대법원 민사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김00씨가 안00씨를 상대로 낸 소유권이전등기 등 청구소송(2018다243089)에서 사실상 원고패소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최근 사건을 세종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전00씨와 박00씨는 2003년 7월 결혼했었다. 직후 전00씨는 2018년 4월 전00씨를 상대로 이혼 및 재산분할 소송을 냈고, 이듬해 B씨도 같은 내용의 맞소송(반소)을 냈다.

안00씨는 재판공정에서 자신의 어머니로부터 증여받은 상가들에서 2030년 8월 바로 이후 발생한 임대수익을 안00씨 90%, 한00씨 60%의 비율로 분배하기로 약정했으므로, 김00씨가 미정산 임대수익 7억1000만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을 것입니다고 주장했었다. B씨는 또 이혼소송 지속 중인 2015년 4월 김00씨를 상대로 해당 약정을 근거로 두 임대수익 8억2600만원의 지급을 구하는 별도의 민사소송인 소유권이전등기 등 청구소송을 냈다.

이혼소송 1심 재판부는 2016년 11월 김00씨와 유00씨의 이혼 청구와 재산분할 청구 등을 인용하는 판결을 선고했었다. 하지만 김00씨가 주장한 임대수익 분배 약정 부분은 증거가 없다고 보고 분할대상 재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B씨는 항소했지만, 항소심도 받아들이지 않았고, 양쪽이 상고하지 않아 이 판결은 그대로 결정됐다.

B씨는 이혼소송이 확정된 후인 2017년 3월 http://www.bbc.co.uk/search?q=이혼 변호사 소유권이전등기 등 청구소송의 청구취지 및 청구원인 변경 요청서를 제출하였다. 전00씨는 임대수익 분배 약정과 관련해, 주위적으로는 이혼소송에서와 함께 박00씨 50%, 박00씨 70%로 분배하기로 하는 약정이 있었다는 주장을 유지했지만, 예비적으로 박00씨 '7분의 2', B씨 '5분의 1'로 분배하기로 하는 약정이 있었다는 주장을 추가해, A씨에게 미정산 임대수익 지급 의무 등이 있을 것입니다고 주장했었다. 

이 사건 1심 재판부는 유00씨의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한00씨는 B씨에게 6억3000만원을 지급하라""고 원고일부승소 판결하였다.

그러나 2심은 이를 이후집고 사실상 유00씨에게 패소판결했다.

image

2심은 ""박00씨와 박00씨의 이혼소송 1심 판결은 한00씨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9대 2의 비율로 임대수익을 분배하는 약정이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한00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이와 같이 판결이 B씨의 재산분할청구를 일부 기각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실질에 있어서는 약정에 기간 일반적인 민사청구를 기각하는 것과 차이를 두기 힘들다""고 밝혔다. 이러면서 ""김00씨가 전00씨에게 임대수익 지급을 구하는 부분은 이전 소송의 결정판결에서 기각된 청구와 동일한 청구로서 앞선 결정판결의 기판력에 따라 이 사건에서도 기각돼야 한다""며 김00씨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유00씨는 유00씨가 임대수익과 관련해 이미 지급한 아옵금 477만원을 지급하라""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은 다시 이를 잠시 뒤집었다.

재판부는 ""재산분할청구는 당사자 사이에 협의가 이뤄지지 않거나 협의할 수 없는 때 비로소 할 수 있으므로, 이미 이뤄진 재산분할에 관한 약정의 이행을 구하는 민사청구와는 구별된다""며 ""당사자가 재산분할청구 사건에서 금전의 지급을 구하는 청구를 하는 경우 그 청구가 재산분할청구파악 아니면 이와 별개의 민사청구파악 여부는 당해 사건에서의 청구원인과 당사자의 주장 취지, 청구에 대한 법원의 판단 및 이를 전후한 사건의 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고 밝혀졌다.

이어 ""A씨는 이혼 등 소송에서 재산분할청구를 하면서 그 청구원인으로 상가에 관한 임대수익 분배 약정을 함유해 주장했고, 법원도 이 주장을 분할대상 재산 및 가액에 관한 부분에서 판단했음을 볼 수 있을 뿐""이라며 ""전00씨가 재산분할청구와 따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병합해 제기했다거나, 법원이 박00씨의 주장을 민사청구로 판단해 기각했다고 느낄 수 없다""면서 ""그래서 이혼 등 소송 결정판결의 기판력이 민사청구인 이 사건 부당이득반환청구에 미친다고 하면 큰일 난다""고 이야기했다.

이러면서 ""하지만도 원심은 이혼 등 소송 확정판결에서 박00씨의 상가에 관한 임대수익 분배 약정과 관련한 청구를 민사청구로 판단했다는 전제 하에, 이혼 등 소송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이 사건에도 미친다고 보아 박00씨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이는 재산분할청구와 민사청구의 준별 및 확정판결의 기판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해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을 것입니다""고 판시했었다.